코드분석 규칙2008. 1. 19. 11:49
이 블로그에서도 간단하게나마 FxCop Custom 규칙을 만드는 방법을 "[HowTo]FxCOP(비주얼 스튜디오 2005 코드 분석) Custom 규칙 작성하기(C#)" 라는 제목으로 소개한 바 있었다. 내용이 너무 부실해서 민망하긴 해도, 아주 간단한 규칙 정도는 작성할 수 있는 수준의 글이었다.

오늘 MS의 Code Analysis Team Blog"Tutorial on writing your own Code Analysis rule" 이라는 글이 올라와서 봤더니, BinaryCoder.Net의 Jason Kresowaty라는 친구가 올린 "FxCop: Writing Your Own Custom Rules"이라는 글을 소개하는 포스팅이었다.

아직은 대충 봤는데, Introspection Object Model에 대해서 아주 자세하게 다루는 것이 눈에 띈다. Introspector라는 자기가 만든 유틸리티도 소개를 하고 있고. 찬찬이 읽어 봐야 겠다.

아래는 그 Instrospector라는 유틸리티의 스크린샷

사용자 삽입 이미지

'코드분석 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ticle]Visual Studio 2005 Team System 코드 분석  (2) 2006.10.14
Posted by kkongchi
Sharepoint Portal Server2008. 1. 13. 15:15
Sharepoint Service 3.0의 백업은 Central Administration에서 이루어진다.

Central Administration에서 Operation 탭으로 가면 Backup & Restore라는 메뉴가 있다. 거기에서 Perform a Backup 링크를 클릭하면 백업할 수 있는 화면으로 가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면, 백업할 수 있는 요소들의 리스트가 뜬다. 여기서 전체를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선택적으로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다음은 백업 옵션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백업 방법(Full & Differential)과 백업 디렉토리를 설정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면 백업이 시작되는데, 이 작업은 꽤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바로 상태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툴바의 Refresh 버튼을 누르다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계속 상태가 업데이트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렇게 Central Administration 사이트에 들어가서 수동으로 백업을 하는 것은 간편하기는 해도 꽤 귀찮은 일이다. 그래서 STSADM.EXE와 윈도우 스케줄러를 사용해서 백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더욱 좋을 것이다.

TechNet사이트의 Window Sharepoint Service 3.0 Library의 "Automate the backup process by using a batch file" 이라는 문서에 자세한 방법이 나와 있는데, 그 step을 소개하자면 아래와 같다.

1. 노트패드를 열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입력한 다음, WSSBatchBackup.bat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C:\backup이라는 디렉토리이름은 자유롭게 바꾸면 된다)

@echo off
echo ===============================================================
echo Back up sites for the farm to C:\backup
echo ===============================================================
cd \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web server extensions\12\BIN
@echo off
stsadm.exe -o backup -directory "\backup" -backupmethod full -overwrite
echo completed

2. 제어판 -> Scheduled Tasks로 이동해서, 새로운 스케줄을 만든다. 그리고 그 스케줄에서 실행할 파일을 아래 그림처럼 스텝1에서 만든 Batch파일로 지정하는 것이다. 스케줄의 실행 주기는 필요한 만큼 설정하면 된다. (내 개인적으로 매일 백업하도록 설정해 두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와 같이 스케줄로 설정해서 자동화시켜두면, 이제 수동으로 백업할 일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유사시에는 이 백업 파일을 활용해서 빠른 복구가 가능할 것이다.
Posted by kkongchi
Sharepoint Portal Server2008. 1. 5. 21:47
죽어버린 Sharepoint 팀 사이트를 살려라. 사건개요 보기

DB까지는 어떻게 회복을 했다. 그리고 다시 다른 서버에 Sharepoint Service 3.0을 새로 설치하고, 기존 서버를 백업한 파일을 Restore하는 방식으로 Sharepoint 서버를 옮기게 되었다.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가 발생했다. 서버를 옮길 때에 기존에 있던 모든 계정을 똑같이 만들어줬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계정들과는 다르게 인식이 되는 것이다.

즉, 똑같은 kkongchi라는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도 기존에 썼던 게시물은 내가 쓴 것이 아니게 되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결국 내가 그전에 썼던 게시물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지 못하게 된다. 물론 불편한 대로 쓸 수는 있겠지만, 깔끔하지가 못했다.

그래서 조사해본 결과, 다음 문서를 Microsoft의 Support Knowledge Base에서 찾을 수 있었다.

After you migrate a user from a different Active Directory domain, the user can no longer access Windows SharePoint Services

위 문서는 사실 내 경우와는 좀 다르다고 하겠다. 위 문서는 Sharepoint Service의 MIgration 시에 할 수 있는 것들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아래 쪽에 보면 STSADM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User를 Migrate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내가 원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었다.

stsadm -o migrateuser -oldlogin DOMAIN\user -newlogin DOMAIN\user [-ignoresidhistory]

위 방법을 써서 바로 현재 사용자들과 기존 사용자들을 Sync시킬 수 있었다. 이제 완전히 같은 환경이 된 것이다. 그러나...

To Be Continued...
Posted by kkong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