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Lazy Developer
검색하기

블로그 홈

Lazy Developer

lazydeveloper.net/m

C#, ASP.NET, Javascript, .NET framework, Sharepoint Service, NUnit, FxCop, Code Review...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kkongchi의 블로그들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아마존 웹서비스 RDS에 오라클이 추가되었습니다. MySQL 만을 서비스하던 아마존 웹 서비스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에 드디어 Oracle 이 추가가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Oracle 11g 버전을 사용할 수 있고, Standard Edition One, Standard Edition, Enterprise Edition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Standard Edition과 Enterprise Edition의 경우는 자체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어야 가능하네요. Standard Edition One의 경우는 요금을 조금 더 내는 방식으로 라이센스를 커버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MySQL에서는 지원되는 Replication 기능은 지원되지 않네요. 추후에 공개되지 않을까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로 가시..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5. 24.
  • 아마존 웹 서비스 장애, 클라우드 서비스의 한계? 지난 주 금요일에 아마존 웹 서비스에 큰 사고가 있었습니다. EC2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고, 그에 따라서 아마존 EC2 서비스에 웹사이트들을 호스팅하던 다수의 사이트들에도 역시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유명한 위치기반 서비스인 포스퀘어도 위 그림처럼 사이트와 서비스에 장애를 겪었고, 웹 사이트에 위와 같은 공지를 했습니다. 그리고, 역시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아마존에서 장애가 발생했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역시 위험?…아마존 EC2 장애로 다수 사이트 중단 – 디지털 데일리 (네이버 뉴스) 아마존 'EC2' 불통…클라우드 신뢰성 타격 – ZDNET Korea (네이버 뉴스) 당연히 미국 미디어 기사들도 다르지 않습니다. Amaz..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4. 26.
  • Amazon Web Service EC2 Instance - Windows VM 생성 Step by Step AWS Console EC2 탭으로 접속합니다. Getting Started 의 Launch Instance를 클릭해서 Request Instances Wizard를 엽니다. 첫 번째로 AMI를 선택해야 합니다. 리눅스와 윈도우 AMI 목록이 뜹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여기서 저는 "Microsoft Windows 2008 R2 with SQL Server Express and IIS"을 고르겠습니다. 인스턴스의 사양과 개수를 고르는 화면입니다. 저는 1개의 Micro 사양 인스턴스를 고르겠습니다. Micro 사양은 1 Core CPU에 613MB의 RAM을 가지고 있는 그야말로 최소 사양입니다. 같은 화면에서 바로 Launch를 할 것인지, 아니면 Spot Instance로 지정할..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3. 18.
  • Amazon Web Service EC2 서비스, Windows 2008 R2 인스턴스 지원 어제, 그러니까 2011년 3월 16일부터, 아마존 웹 서비스 EC2에서 Windows 2008 R2 인스턴스가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 같은 Windows 2008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R2는 많은 업데이트와 향상이 이루어진 메이저 버전 수준이기 때문에, EC2 서비스에서 윈도우 서버 사용자들에게는 좋은 소식인 것 같습니다. Windows 2008 R2에 대해서는 http://www.microsoft.com/windowsserver2008/ko/kr/why-upgrade.aspx 에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3. 17.
  • Amazon Web Service Account 생성 Step by Step http://aws.amazon.com 에 접속해서 account 를 생성합니다. 아래 화면의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카드번호를 입력하면 전화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자동 전화가 와서 PIN 넘버를 전화로 입력할 것을 요구합니다. PIN 번호는 그 화면에 4자리 숫자로 뜨게 되니 보고 입력하면 됩니다. PIN 넘버를 입력하면 계정 생성이 완료됩니다. https://console.aws.amazon.com/s3/home 주소로 AWS management Console 에 접속합니다. 아니면 아래 화면처럼 상단 링크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공감수 1 댓글수 0 2011. 3. 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