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Lazy Developer
검색하기

블로그 홈

Lazy Developer

lazydeveloper.net/m

C#, ASP.NET, Javascript, .NET framework, Sharepoint Service, NUnit, FxCop, Code Review...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kkongchi의 블로그들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Tip]Throw vs Throw ex 최근에 현재 유지보수중인 솔루션의 에러 처리 로직 개선 작업을 하다가, 내가 아직도 Throw와 Throw ex의 차이를 모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_-;; 그래서 구글신에게로 고고씽. ㅎ 역시 구글신께서 알려주신 Top 4개의 링크만으로 모든 궁금증이 풀렸다. 그 링크 목록은 다음과 같다. Joteke's Blog - Difference: throw or throw ex? Scott Dorman Blog - Difference between "throw" and "throw ex" in .NET Mattness Encapsulated - throw; vs. throw ex; Here's the difference! BULLOG.NET - 즈믄의 C# 강좌 - throw VS throw ex 정리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08. 3. 30.
  • [Tip]Windows 2003 서버에서 VS.NET 2002 웹 프로젝트 만들기/열기 현재 내가 근무하고 있는 회사는 BI 솔루션 업체이다. 그래서 이 솔루션이라고 하는 것이 현재 개발 중인 버전만 있는 것이 아니고, 기존에 고객들이 쓰던 예전 버전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솔루션을 유지, 관리하는 일도 아주 중요한 업무 중의 하나이다. 얼마전에 이전 버전 중의 하나에서 이슈가 발견되어서, 처음으로 그 예전 버전을 디버깅할 일이 생겼다. 기존 버전은 Visual Studio.NET 2002를 가지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VS.NET 2002 를 설치하고 웹 프로젝트를 열려고 하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열리지 않는 것이다. 분명히 IIS에 제대로 경로를 잡아줬기 때문에 잘 열려야 하는데 안 열리는 것이었다. -_-;; 그리고 결국 Microsoft Support Sited에서 해결책을 ..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4. 25.
  • [Article]COM+ Authentication Level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cossdk/html/a59935de-6b8f-4c0a-8479-e30bc0509698.asp COM+ 서버 애플리케이션에는 아래와 같은 Authentication Level을 설정할 수 있다. None: No authentication occurs. 즉 어떤 인증도 수행하지 않는다. Connect: Authenticates credentials only when the connection is made. 최초 연결할 때만 인증을 수행한다. Call: Authenticates credentials at the beginning of every call. 매번 호출 시마다 Credential.. 공감수 0 댓글수 0 2007. 2. 12.
  • [Tip]Windows Service 초기 작업 디버깅(VB.NET) 윈도우즈 서비스로 만든 닷넷 모듈에 문제가 생겨서 디버깅할 일이 있었다. 알다시피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닷넷 어플리케이션처럼 확장자는 exe이지만, 독립적으로는 실행되지 않고, 서비스에 등록되어서 실행되게 된다. 그래서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Visual Studio의 프로세스 디버깅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즉 아래 그림처럼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비주얼 스튜디오 디버깅 메뉴에서 직접 연결해서 디버깅하는 것이다. 그런데 오늘은 위 방법을 쓰기가 힘든 상황이 발생했다. 왜냐하면, 초기 작업에 문제가 있었던지 서비스 시작이 아예 되질 않는 거다..-_-;; 서비스 시작이 되질 않으니 프로세스를 디버깅할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난감한 상황에서 언제나 한줄기 빛을 던져주시는(^^;;) 구글님에게 문.. 공감수 0 댓글수 2 2007. 2. 6.
  • [Etc]MS - PHP - Linux Alliance? 어제, 오늘 아주 깜짝 놀랄만한 뉴스가 연이어 터지고 있다. 어제는 MS가 PHP Zend와 기술 제휴를 하더니, 오늘은 Suse Linux의 노벨과 전격 제휴를 했다고 한다. Zend의 경우, .NET Framework에서 PHP 소스가 한 줄의 코드 변경도 없이 완벽하게 동작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PHP.NET? 그러면 ASP.NET은? Suse Linux의 경우, MS에서 공식적으로 밀어주기로 한 모양이다. 즉, MS 제품 고객들이 윈도우즈 서버와 함께 리눅스 서버를 함께 쓰길 원하는 경우에 Suse Linux를 추천하게 될거라고 한다. 그리고 공동 개발을 통해서 한 대의 머신에서 두 OS를 같이 쓸 수 있도록 한다는데... 아무튼, 굉장히 충격적인 소식이다. 이건 마치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 공감수 0 댓글수 11 2006. 11. 3.
  • [HowTo]FxCOP(비주얼 스튜디오 2005 코드 분석) Custom 규칙 작성하기(C#) FxCop은 MS에서 만든 코드 분석 툴이다. 닷넷 코드를 분석해서 표준적인 규칙에 맞는지, 성능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검사해주는 도구로, 많은 프로젝트에서 코드 리뷰를 위한 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번 Visual Studio Team System에서는, 이 FxCop이 아예 Visual Studio 내부에 내장되어서, 아주 간단하게 코드 분석을 해볼 수 있게 되었다.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해서 나오는 컨텍스트 메뉴에서 "코드 분석 실행"이라는 것을 클릭하면 바로 FxCop을 이용한 코드 리뷰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솔루션 탐색기에서 코드 리뷰 실행 코드 리뷰 결과 화면 이 코드 분석 툴에는 200개 정도의 기본 규칙들이 있다. 디자인, 명명, 보안, 사용, 상호 운.. 공감수 0 댓글수 0 2006. 7. 25.
  • [Article]SQL Injection(.NET, C#) 1. SQL Injection 이란? a. SQL Injection은 SQL 쿼리에 사용되는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해서 제대로 유효성 검사를 하지 않았거나 타입 체크를 하지 않아서, 쿼리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코드가 실행될 수 있게 만드는 애플리케이션 상의 보안 취약점이다. 2. SQL Injection의 예 a. 사용자 정보가 DB에 있으며, 로그인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은 쿼리를 호출해서 인증을 처리한다고 생각해보자 SELECT * FROM USERS WHERE USERID = '" + UserIDTextBoxValue + "' AND PASSWORD = '" + PasswordTextBoxValue + "'" b. 여기서 UserIDTextBoxValue에 a'.. 공감수 0 댓글수 2 2006. 7. 22.
  • [Tip]Visual Studio 2005에서 직접 실행 창을 보이게 하는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 닷넷 2003 을 사용할 때, 디버깅 시에 가장 유용하게 사용했던 도구라고 한다면, 내 경우는 직접 실행 창이었다. 물론 자동, 지역, 조사식 등의 도구들도 있지만, 난 대부분의 경우 직접 실행 창을 사용했다. 인텔리센스 기능도 지원하기 때문에, 코드 외의 여러 가지를 실행시켜보면서 작업할 수 있기도 하고, 변수에 담긴 값이 꽤 클 때도 보기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디버깅을 할 때 코드를 step by step으로 실행시키면서 직접 실행창만을 가지고 작업을 했었다.비주얼 스튜디오 2003(그리고 그 이전 버전)에서는 메뉴중에서 디버그->창->직접실행 을 선택하면 디버그 중에서 직접 실행 창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새로 출시된 Visual Studio 2005에서는 (내가 못.. 공감수 0 댓글수 2 2006. 5. 4.
  • [Etc]MCPD Beta Exam 지난 주와 지지난 주 토요일, 그러니까 2월 18일, 25일에 MCPD Beta Exam에 응시해서, 시험을 치뤘다. MCPD는 Microsoft Certified Professional Developer 의 약자로, 이번에 MS에서 닷넷 프레임워크 2.0의 출시와 함께, 새롭게 만들어진 자격증이다. 저는 MCAD를 갖고 있는데, 어느날 beta exam에 무료로 응시해보라는 메일이 왔다. 나중에 어차피 한번 쳐볼까 하는 시험이라서, 공부도 많이 못 했고, 결정적으로…^^;; 기출문제 덤프도 없어서 많이 불안했지만 뭐 불합격해도 본전이라는 생각으로 쳐봤다. 18일에 친건 MCPD Web Application Developer 였고, 25일에는 MCPD Windows Application Developer.. 공감수 0 댓글수 0 2006. 3. 5.
  • [HowTo]NANT 사용하기 NAnt를 혹시 사용해보셨는지? Ant는 원래 Java에서 사용하던 빌드 툴이다. C에서 사용하는 Make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역시 Java답게 운영체제나 시스템에 독립적인 빌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Apache그룹에서 만든 빌드 프레임워크인데, NAnt는 SourceForge 커뮤니티에서 제작한 Ant의 .NET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와 같은 빌드정의 파일(.build)을 XML포맷으로 만들고 그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서 NAnt라고 Command-Line 명령을 실행하기만 하면 된다. 비주얼 스튜디오를 열지않고도 빌드를 할 수 있고, Nightly Build(Daily)도 가능하며, 서비스 형태로 몇 시간 혹은 몇 분마다 빌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파일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부가적.. 공감수 0 댓글수 0 2006. 2. 20.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